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감각 통증 증후군(CIPA) -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희귀 신경 질환

by baeksoonqwer 2025. 3. 17.

통증 관련 사진

무감각 통증 증후군(Congenital Insensitivity to Pain with Anhidrosis, CIPA)은 선천적으로 통증과 온도 감각을 느끼지 못하는 희귀 신경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NTRK1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자율신경계 이상이 발생하며, 통증을 인식하는 신경 기능이 손상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감각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심각한 부상을 입어도 알아차리지 못하며, 땀샘 기능 이상으로 체온 조절이 어렵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IPA의 원인, 주요 증상, 진단 및 치료법, 생활 관리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무감각 통증 증후군(CIPA)의 원인과 발생 기전
  2. 주요 증상 및 합병증
  3. 진단 방법과 치료법
  4. 생활 관리 및 예방법
  5. 요약정리

 

무감각 통증 증후군(CIPA)의 원인과 발생 기전

무감각 통증 증후군(CIPA)은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통증과 온도 감각을 느끼지 못하는 희귀 신경 질환입니다.

1. 주요 발생 원인

NTRK1 유전자 돌연변이

  • NTRK1 유전자는 신경 성장 인자 수용체(NGF receptor)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
  • 해당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통증 및 온도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세포가 제대로 발달하지 않음
  • 결과적으로 통증, 온도 감각 손실과 함께 자율신경계 이상이 발생

상염색체 열성 유전 (부모 모두 보인자일 경우 발생 가능)

  • CIPA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Autosomal Recessive Inheritance)으로, 부모가 모두 돌연변이 유전자를 보유한 경우 발병
  • 부모가 모두 보인자일 경우 자녀가 CIPA에 걸릴 확률은 25%

신경 발달 이상으로 인해 통증 및 온도 감각 상실

  • 신경세포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통증과 온도를 감지하는 감각 신경이 작동하지 않음
  • 또한, 자율신경계 기능 장애로 인해 발한 기능(땀샘 조절)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

CIPA는 유전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초기 진단을 통해 관리하지 않으면 심각한 부상 및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 및 합병증

CIPA의 대표적인 증상은 통증과 온도 감각 상실, 발한 장애, 자율신경계 이상입니다.

1. 대표적인 증상

통증 감각 상실 (어린 시기부터 발견 가능)

  • 출생 직후부터 바늘, 뜨거운 물, 날카로운 물체 등에 대한 통증 반응이 없음
  • 아이가 넘어지거나 다쳐도 고통을 느끼지 않아 부모가 늦게 알아차릴 가능성 높음
  • 반복적인 부상으로 인해 뼈가 쉽게 부러지고, 상처가 제대로 치유되지 않음

온도 감각 상실 및 발한 장애(무한증)

  • 더운 날씨에도 땀을 흘리지 못해 체온이 급격히 상승할 위험 있음
  • 심한 경우 고열로 인해 열사병(Heat Stroke) 위험 증가
  • 감각 이상으로 인해 춥거나 더운 환경에서도 적절한 반응을 하지 못함

자율신경계 기능 장애

  • 배변 조절 기능 이상으로 변비 또는 설사가 자주 발생
  • 혈압 조절 장애로 인해 어지러움, 실신 등의 증상 동반 가능
  • 심장 박동 조절 이상으로 인해 부정맥 발생 가능성 있음

구강 및 치아 문제

  • 통증 감각이 없기 때문에 스스로 혀, 입술, 손가락을 물어뜯는 행동이 나타남
  • 심한 경우 잇몸 손상 및 치아 손실 발생 가능

2. 주요 합병증

반복적인 골절 및 관절 손상 (자가 손상 위험 증가)
고열로 인한 열사병 및 신경 손상 가능성
자율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심혈관계 문제 발생 위험
구강 자해 행동으로 인한 치아 손실 및 감염 위험

CIPA 환자는 통증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외부 손상으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는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진단 방법과 치료법

CIPA는 유전자 검사 및 신경 기능 검사를 통해 진단 가능하며, 현재까지 완치 방법은 없고 증상 관리가 중요합니다.

1. 진단 방법

유전자 검사 (NTRK1 유전자 돌연변이 확인)

  • 유전자 검사를 통해 CIPA 여부를 확진 가능

신경 기능 검사 (통증 및 온도 감각 테스트)

  • 뜨거운 물, 차가운 물, 압력 자극 등을 이용하여 감각 반응 확인

피부 조직 검사 (신경세포 발달 이상 확인 가능)

  • 통증 및 온도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세포의 이상 여부 확인 가능

자율신경계 검사 (혈압 및 심장 박동 조절 기능 평가)

  • 심박수, 혈압 조절 이상 여부 평가

2. 치료법

부상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 관리

  • 날카로운 물건, 뜨거운 물체 등에 대한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
  • 부상을 신속히 발견하기 위해 정기적인 신체검사 시행

체온 조절 관리 (열사병 예방 필수)

  • 더운 환경에서는 실내 냉방 유지,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이 중요
  • 땀을 흘리지 못하기 때문에 외부 온도가 높을 경우 냉찜질 필요

물리치료 및 재활 치료

  • 관절 손상 및 골절을 최소화하기 위해 운동 재활 치료 시행 가능
  • 치아 손상을 막기 위해 구강 보호 장치 착용 가능

자가 손상 방지를 위한 행동 치료 시행

  • 자신을 깨물거나 상처를 내는 행동을 줄이기 위해 행동 치료 진행 가능

CIPA는 완치가 불가능한 질환이지만, 적절한 관리를 통해 부상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생활 관리 및 예방법

통증 감각이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신체 검사 필수
체온 조절을 위해 냉방 유지 및 충분한 수분 섭취
치아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장치 착용
부상 예방을 위해 날카로운 물건 및 위험한 환경 피하기

 

 

요약정리

✅ **무감각 통증 증후군(CIPA)**은 통증과 온도 감각을 느끼지 못하는 희귀 신경 질환
주요 증상: 통증 감각 손실, 발한 장애(무한증), 자율신경계 이상
진단 방법: 유전자 검사(NTRK1 돌연변이 확인), 신경 기능 검사, 피부 조직 검사
치료법: 부상 예방, 체온 조절, 물리치료, 행동 치료 시행
CIPA 환자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철저한 관리가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