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크리겔-나자리 증후군 – 간에서 빌리루빈을 배출하지 못해 황달이 심해지는 희귀 유전 질환

by baeksoonqwer 2025. 3. 18.

적혈구 관련 사진

크리겔-나자리 증후군(Crigler-Najjar Syndrome, CNS)은 간에서 빌리루빈을 처리하는 효소가 부족하거나 결핍되어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희귀 유전 질환입니다.

빌리루빈은 적혈구가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노폐물로, 정상적인 경우 간에서 대사 되어 담즙으로 배출됩니다. 하지만 크리겔-나자리 증후군 환자는 UDP-글루쿠로닐전이효소(UGT1A1)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빌리루빈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지 못하고 체내에 축적되면서 심각한 황달을 유발합니다.

이 질환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 방식으로 유전되며, 치료하지 않을 경우 신생아기부터 심각한 신경 손상(핵황달) 및 생명 위협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크리겔-나자리 증후군의 원인, 주요 증상, 진단 및 치료법, 생활 관리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크리겔-나자리 증후군의 원인과 발생 기전
  2. 주요 증상 및 합병증
  3. 진단 방법과 치료법
  4. 생활 관리 및 예방법
  5. 요약 정리

 

 

크리겔-나자리 증후군의 원인과 발생 기전

크리겔-나자리 증후군은 간에서 빌리루빈을 처리하는 특정 효소의 결핍 또는 기능 저하로 인해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질환입니다.

1. 주요 발생 원인

UGT1 A1 유전자 돌연변이

  • **UDP-글루쿠로닐전이효소(UGT1 A1)**는 빌리루빈을 수용성으로 변환하여 담즙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 크리겔-나자리 증후군 환자는 UGT1A1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효소가 완전히 결핍되거나 기능이 감소하여 빌리루빈 대사가 원활하지 않음.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

  • 부모가 모두 보인자인 경우, 자녀가 질환을 가질 확률이 25%
  • 돌연변이의 유형에 따라 1형과 2형으로 구분됨

유형별 차이

  • 1형(Crigler-Najjar Syndrome Type 1): 효소가 완전히 결핍되어 매우 심각한 황달이 발생하며, 치료하지 않으면 신경 손상(핵황달) 및 생명 위협 가능
  • 2형(Crigler-Najjar Syndrome Type 2, Arias Syndrome): 효소가 부분적으로 기능하며, 비교적 경미한 황달 증상이 나타남

크리겔-나자리 증후군은 효소 결핍으로 인한 빌리루빈 배출 장애가 원인이며,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주요 증상 및 합병증

크리겔-나자리 증후군의 주요 증상은 혈중 빌리루빈 수치 증가로 인한 황달이며, 심한 경우 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대표적인 증상

심한 황달(Jaundice)

  • 출생 직후부터 심한 황달이 지속되며, 눈의 흰자(공막)와 피부가 노랗게 변함
  • 1형 환자의 경우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20~50mg/dL까지 상승할 수 있음(정상 범위: 1mg/dL 이하)

만성 피로 및 신경계 이상

  • 빌리루빈이 뇌에 축적되면 운동 장애, 근육 경직, 경련 등의 신경 손상이 발생할 수 있음
  • 2형 환자의 경우 비교적 가벼운 황달과 피로감을 경험할 수 있음

간 기능은 정상

  • 크리겔-나자리 증후군은 간 질환이 아니라 간 효소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사 질환이므로, 간 기능 검사(AST, ALT 등)는 정상 범위일 가능성이 높음

2. 주요 합병증

핵황달(Kernicterus) 위험 증가

  • 빌리루빈이 신경계에 축적되면서 신생아기 및 유아기 뇌 손상(핵황달)이 발생할 수 있음
    담즙 정체로 인한 소화 장애
  • 빌리루빈 대사가 원활하지 않아 지방 소화 및 흡수가 어려워질 수 있음
    장기적인 신경 손상 위험 증가
  • 치료하지 않을 경우 운동 장애 및 발달 지연 가능성

크리겔-나자리 증후군은 심한 황달이 지속될 경우 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진단 방법과 치료법

1. 진단 방법

혈액 검사(빌리루빈 및 간 기능 검사)

  • 혈중 비결합(간에서 처리되지 않은) 빌리루빈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상승
  • 간 기능(AST, ALT) 수치는 정상

유전자 검사(UGT1 A1 유전자 분석)

  • 유전자 돌연변이를 확인하여 1형과 2형을 감별

페노바르비탈 반응 검사(2형 감별)

  • 페노바르비탈(Phenobarbital) 투여 후 빌리루빈 수치가 감소하면 2형으로 진단 가능

2. 치료법

광선 치료(Phototherapy) – 1형 환자의 필수 치료법

  • 신생아 황달 치료와 동일한 방식으로, 푸른빛을 이용해 빌리루빈을 수용성으로 변환하여 배출 촉진
  • 1형 환자는 평생 지속적인 광선 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

페노바르비탈(Phenobarbital) 치료 – 2형 환자에게 효과적

  • UGT1A1 효소 활성을 증가시켜 빌리루빈 배출을 도와줌
  • 1형 환자에게는 효과가 없음

간이식(Liver Transplant) – 1형 환자의 유일한 완치 방법

  • 심한 1형 환자는 간이식을 통해 정상적인 빌리루빈 대사를 회복 가능

칼슘 및 활성탄 보충제 사용

  • 빌리루빈 흡수를 줄이기 위해 칼슘 및 활성탄 보충제 사용 가능

크리겔-나자리 증후군은 광선 치료 및 간이식을 통해 치료할 수 있으며, 조기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생활 관리 및 예방법

정기적인 혈액 검사 및 빌리루빈 수치 모니터링 필수
광선 치료 및 약물 치료를 꾸준히 유지
고지방 식단 피하기(담즙 분비 장애 예방)
간이식이 필요한 경우 의료진과 상담하여 치료 계획 수립

 

 

 

요약정리

✅ **크리겔-나자리 증후군(CNS)**은 빌리루빈 대사 이상으로 인한 희귀 유전 질환
주요 증상: 심한 황달, 신경계 이상(핵황달), 만성 피로
진단 방법: 혈액 검사, 유전자 검사, 페노바르비탈 반응 검사
치료법: 광선 치료(1형), 페노바르비탈(2형), 간이식(유일한 완치법)
조기 치료와 관리가 필수!